문학론2 신채호의 문학론을 토대로 이광수의 무정에 대해 논하라. 본 글은 문학교양 강의를 들으면서 진행한 문학비평의 자료입니다. 시험에 출제된 문제의 일부 중 인상깊었던 문제에 대한 저의 답변을 담을 글입니다. 답변의 근거로 활용한 자료와 참고한 논문자료는 아래에 첨부하오니, 즐겁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광수의 무정에 대해 논하기에 앞서 단재 신채호의 문학에 대한 관점을 견지하고자 한다. 단재의 문학에 대한 관점을 논하기 위해 사용한 근거는 단재의 문학, 소설에 대한 견해를 담은 세 편의 논평과 조선혁명선언이다. 우선 단재의 소설에 대한 논평에 대해서는 이전의 글을 통해 논한 적이 있으니 간략하게 요약하겠다. 단재 신채호는 문학 중에서도 소설, 그리고 그 이외의 사설, 논평과 같은 텍스트 전반에 대해서 민중을 좋은 방향으로도, 나쁜 방향으로도 이끌 수 있는 강.. 2020. 7. 16. 신채호 문학론 비평 본 글은 문학교양 강의를 들으면서 진행한 문학비평의 자료입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문학론과 관련하여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근일 국문소설을 저술하는 자의 주의할 일』, 『근일에 소설 짓는 자의 추세를 볼진대』, 동아일보에 실린 『낭객(浪客)의 신년 만필(新年慢筆) 』을 읽고, 이를 정리하고 신채호 선생의 문학이 생각하는 문학이란 어떤 것인지 비평한 글입니다. 「근일 국문소설을 저술하는 자의 주의할 일」, 「근일에 소설 짓는 자의 추세를 볼진대」, 낭객(浪客)의 신년 만필(新年慢筆) 세편의 글에서 단재는 문학 중에서도 소설에 대한 그의 비판적 시각, 긍정적 시각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그가 비판적 견해를 보이는 부분과 긍정적 견해를 보이는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단재는 소설이라는 매체를.. 2020. 7. 16. 이전 1 다음